일화

신생 대한민국

인촌이 부통령 재임 당시 이승만 대통령과의 한때 인촌이 부통령 재임 당시 이승만 대통령과의 한때

<유우엔>은 남한의 가능지역 총선거를 통한 단일정부 수립안을 가결하고 <유우엔>한국위원단을 파견하여 선거감시를 하기로 했다. 그렇게 염원하던 신생 독립정부가 탄생될 수 있는 길이 열렸던 것이다.

1948년 5월10일. 역사적인 5.10 총선거가 실시된 것이었다. 공산당의 선거방해, 테러, 파업 등이 있었지만 선거는 자유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졌다.

仁村이 종로에서 입후보하면 무투표 당선은 틀림 없다고 모두 예상했다. 그런데 그 상황에서 나오지를 않았다. 그는 언제나처럼 겸손하여 사양했던 것이다. "나 하나 당선될 비용 가지면 다섯 사람, 여섯 사람 국회의원 시킨다"는 것이었다. 당수가 출마하지 않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모든 동지들이 나오도록 강권했지만 仁村은 끝까지 거절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 해. 평양에는 지금 古堂(조만식)이 있어, 그 분을 실망시킬 수는 없어. 남북한의 모든 민주세력이 고루 진출해야만 통일정부를 세울 수 있는 기초가 되는 거야. 내 욕심만 생각해서는 안돼. 내 대신 이윤영씨를 종로에서 나오게 해야 해"

仁村은 우국지사이면서 민족주의자였던 古堂을 존경하고 있었다. 평양에서 반탁운동을 벌인 古堂은 공산당의 위협으로 연금상태에 있었고, 부위원장이던 이윤영이 월남해 있었던 것이다. 仁村은 이에 古堂에 대한 우정과 4백5십만 월남동포를 위해서 그리고 앞으로의 민주세력 남북통합이란 대의를 위해서 서슴없이 자신의 선거구를 이윤영에게 양보했던 것이다.

5.10선거는 성공리에 치러졌다. 의석2백석 중 한민당은 29석을 차지하여 당일 정당으로서는 제1당이 되었다. 제1대 국회는 임기 2년의 과도적인 제헌 국회의 성격을 띠었다. 국회는 곧 헌법. 정부조직법 등을 심의 제정하게 되었고, 국호는 대한민국이 되었고, 권력구조는 양론이 대립했으나 내각책임제로 기울었다. 그러나 대통령으로의 선출이 기정사실화 되어 있던 이승만은 처음에 내각책임제도 좋다고 했으나 대통령책임제가 아니면 대통령이 될 수 없다며 태도를 바꿨다. 어느 날 이승만은 뜻밖에 仁村을 숙소인 이화장으로 와달라 했다. 仁村을 만난 이승만은 엉뚱한 소리를 하는 것이었다.

"仁村, 깊이 생각한 바이오. 내각책임제 아래에서 대통령을 하기는 싫소"

"무슨 말씀이십니까? 모든 의원들과 국민들은 선생님이 그 안에 반대하시지 않고 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내각책임제 아래에서 대통령은 허수아비요. 허수아비 대통령을 하기 위해 일생을 독립운동에 바친 게 아닙니다. 대통령으로 새 일을 하게 해 주시오"

"국론은 이미 정해져 있습니다. 국회에서도 통과된 거나 다름이 없습니다"

"한민당에서 꼭 그렇게 하고 싶다면 다른 사람을 대통령에 뽑으시오. 나는 하지 않겠소"

이승만은 화를 내며 다른 방으로 건너가 버리는 것이었다. 그의 독선 앞에 仁村은 어안이 벙벙할 뿐이었다. 그 소식을 들은 헌법기초위원과 당간부들은 그거야 말로 <대통령중심제>가 아니라 <이승만 중심제>라고 비난하며 절대 바꿔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러나 仁村은 그들을 무마했다.

"이박사를 중심으로 겨우 민족적 단결을 보여 주었는데 정부구조를 가지고 그분과 대립해서 싸운다면 국민과 세계가 어떻게 보겠소? 내각책임제냐 대통령책임제냐 그 자체보다도 독립정부수립이 하루라도 빨리 돼야 하오. 우리가 싸운다면 혼란이 오고 좌익에게만 어부지리를 주게 됩니다. 물러설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을 다 감안하고, 이박사가 고집을 부리고 있는 데야 어쩌겠습니까? 우선 정부를 수립하고 우리의 독립을 세계에 선포하고 봅시다"

불만이 터지려 했으나 참는 도리밖에 없었다.

위로가기